IT 172

Internet Explorer에서 주소창이 2개 보일때

IE에서 주소창이 2개 보일때 해결 방법입니다. Menu bar/Toolbar Missing in Windows Explorer and/or Internet Explorer View products that this article applies to. Author:Doug Knox MVP Community Solutions Content Disclaimer Article ID : 555130 Last Review : July 28, 2005 Revision : 1.0 SUMMARY The Menu bar and/or Toolbar may be missing when you open Windows Explorer and/or Internet Explorer. Back to the top SYMPTOMS W..

IT 2009.07.15

익스플로러에서 이미지가 BMP파일로만 저장이 될때

익스플로러에서 이미지가 BMP파일로만 저장이 될때 인터넷 익스플로러 → 도구 → 인터넷 옵션에서 파일 삭제함 그리고 익스플로러 새로 띄우기만 하면 됩니다. 이문제는 제가 알기로는 인터넷 임시파일 공간에서 변환을 해줘야할 확장자가 꽉 차있어서 제대로 변환을 해주지 못하기 때문인데 인터넷 옵션 설정 창에 보면 사용할 디스크 공간이 전체로 잡혀 있는데 이걸 50-60MB 정도로 설정하고 옵션은 자동으로 그리고 오프라인파일과 임시 인터넷 파일을 전부 삭제 합니다.. 그리고 자주 임시파일들을 삭제해 주세요... ie를 시작하면 이제부턴 정상적으로 jpg나 gif로 저장될겁니다. ^_* **가끔 위의 방법이 안될때도 있습니다. 그이유는 필자도 모름*** ㅎㅎㅎ

IT 2009.07.14

인터넷의 방랑자 웹 로봇(Web Bot)

웹 로봇(Web Bot)이란 무엇인가? 로봇이란 자동적으로 웹의 하이퍼텍스트 구조를 따라 다니며 문서를 추출하고, 재귀적으로 그 문서에서 참조되는 다른 문서들을 추출하는 식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이다. 여기서 "재귀적"으로 동작한다는 것이 따라다니는 알고리듬이 재귀적이라는 뜻이 아니다. 약간의 휴리스틱으로 문서를 선택하는 순서가 달라질 수 있지만 그래도 그것 역시 로봇이라 할 수 있다. 보통 웹브라우져는 로봇이 아니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매번 링크를 따라 다닐 때마다 사람이 작동시키기 때문이다. 로봇은 자동으로 링크를 따라다니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웹 로봅은 보통 웹 방랑자(Wanderer), 기어다니는 것(Crawler), 혹은 스파이더(Spider, 거미)로 불리기도 한다. 이 이름 때문에 소프트웨어 ..

IT 2009.07.14

Java Quick Starter(JQS) 바로알기

작업관리자에 항상 떠 있는 프로세스인 jqs.exe 란 무엇인가? Java Quick Starter(JQS)란 무엇입니까? JQS 실행 시의 이점은 무엇입니까? 적용 대상: 플랫폼: Windows 2000 (SP4+), Windows XP (SP1 SP2) ,2003서버 브라우저: Internet Explorer 6.x, Internet Explorer 7.x, Mozilla 1.4+, Firefox JRE 버전: 6.0 Java Quick Starter(JQS)는 대부분의 Java 애플릿 및 응용 프로그램의 초기 시작 시간을 단축시켜 줍니다. 이 기능은 Java SE 6 업데이트 10(6u10) 릴리스에 추가되었으며 향후 모든 릴리스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JQS는 Windows XP 및 Window..

IT 2009.07.14

윈도우 2000 XP에서 120GB 이상의 고용량 하드 사용하기

윈도우 2000 XP에서 120GB 이상의 고용량 하드 사용하기 120GB 이상의 고용량 제품을 사용하기 전에.... 120GB 이상의 제품을 사용하실 경우 사용하시려는 운영체계에서 48bit LBA를 지원하는지 먼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현재 48bit LBA를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운영체계는 Windows 2003만이 지원하며, 이전의 운영체계에서는 48bit LBA patch를 하셔야 합니다. Windows 2000 및 Windows XP에서는 아래와 같이 patch하시면 사용이 가능하며, WinME 및 Win98(SE 포함)에서는 48bit LBA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 Windows2000은 SP3 이상을 설치하셔야 하며, Windows XP인 경우 SP1을 설치하신후 레지스트리를 수정하셔야 ..

IT 2009.07.14

BX보드에서 지원가능한 최대 하드 용량

인텔 440BX보드에서 사용가능한 하드디스크의 최대용량은 IDE콘트롤러(하드디스크가 실제로 연결되는 장치)에 의해 결정됩니다. 하드웨어 제공업체에 따라서 다른데 BX보드에 기본내장된 IDE콘트롤러는 하드웨어적으로 137G까지 지원이 됩니다. 별도의 외부 HDD콘트롤러를 장착하면 현재 규격으로 1.44x10^8(G)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BX보드에서는 FSB 66/100 정규 클럭을 지원해 주며 일부 제품에서는 오버클럭킹으로 133을 제공해 주는 보드도 있다. 사진은 P2BXA Dual Pentium II 440BX with high-end audio ATX mainboard

IT 2009.07.12

Ms Dos의 역사

MicroSoft DiskOperatingSystem 의 약자인 MS-DOS입니다. MS-DOS의 역사를 잠깐 살펴보면 1981년 CP/M 호환 OS의 소스를 사서 수정한 OS인 MS-DOS 1.0이 발표되었습니다. 이 MS-DOS는 IBM의 역사적인 PC제품에 기본 설치되어 출시되었습니다. 당시 이 PC는 16비트의 CPU로 동작되었습니다. 1983년-MS-DOS 2.0 1984년- MS-DOS 3.1 1986년- MS-DOS 3.6 1987년- MS-DOS 3.3 1988년- MS-DOS 4.0 1991년 -MS-DOS 5.0 1994년- MS-DOS 6.2 1995년- MS-DOS 7.0 MS-DOS 7.0은 Windows 95와 함께 제공되었습니다. 또한 Windows 95OSR2 버젼에서는 MS..

IT 2009.07.12

HX, TX, LX, BX 보드에서 64, 128GB HDD 가능 BIOS

예전에 나온 메인보드중 상당수는 48bit 어드레싱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보통 48bit 어드레싱을 지원하지 않는 구형 메인보드에서는 하드 용량이 137GB가 한계입니다만, 실제로 바이오스를 업데이트 해도 65GB 혹은 80GB까지 밖에 지원 안하는 보드들이 상당수입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수정된 바이오스를 제공하는 유용한 사이트를 소개할까 합니다. 이곳에서는 구형 메인보드를 64GB나 128GB까지 사용할 수 있게 수정한 BIOS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쉽게도 아폴로프로133이나 810,815 계열 보드에 대한 바이오스는 전혀 없습니다. ATA-5,6 규격 미만의 제품만 해당되는 듯 합니다. 아직 지원되는 메인보드가 많이 없는듯 합니다. 개인이 개조한 BIOS 인 만큼 스스로의 판단하에 필요한 분만 ..

IT 2009.07.12

하드디스크 파괴된 좀비 PC의 특징은?

SK 멜론 서비스 이용자 시스템에 msvcr90.dll파일 있는지 확인 해보세요.. 이번 분산 서비스 공격에 사용된 PC는 Win-Trojan/Destroyer.37264 이란 악성 코드에 대부분 감염 되었고 이는 디도스 공격용(DDoS) 으로 이용되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msvcr90.dll 파일이 시스템에 깔려있고 Win-Trojan/Destroyer.37264에 감염된 PC에는 MS용 msvcr90.dll 파일이 설치 되어 있다고 합니다. 혹시나 해서 내 컴퓨터도 검사해 봤습니다. 검사 방법은 윈도우에 시작 - 검색- 파일및 디렉토리로 검사해보니 뜨악 1개의 파일이 보입니다.. 아래 스샷 화면 참조 일단 SK 멜론 서비스 사용시 이 파일이 사용 되는 모양인데 지워도 되는지 함 문의해 봐야겠군요.. ..

IT 2009.07.11

FSB (Front Side Bus)

외부클럭 혹은 시스템 버스라고도 부르며 CPU와 메모리와 연결된 데이터 입출력 버스의 명칭입니다. 배수(multiplier)와 함께 CPU 동작 속도를 결정짓는 역할을 하며 불과 몇 해 전까지만 해도 AGP와 PCI 버스 속도를 결정짓는 역할도 같이 하였습니다. FSB는 메모리 클럭 속도에 영향을 주고 기본적으로 동기화를 이룹니다. 그러나 반드시 FSB 클럭 속도에 맞는 메모리만 사용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런 메모리 지원의 유연성을 해결하고자 작금에 생산되는 대부분 메인보드에는 비동기화를 지원하도록 노스브릿지 칩셋에 클럭을 조정하는 디바이더를 내장했습니다. 디바이더를 통해 CPU와 노스브릿지, 노스브릿지와 메모리 FSB에 각기 다른 클럭을 부여할 수 있기에 FSB 클럭 속도보다 낮은 메모리도 사..

IT 2009.07.10